기후동행카드와 K패스에 대해 다들 들어보셨을텐데요.
두 카드 모두 좋은 혜택을 가졌지만 서울에서 거주하시는 분들이라면 어떤 카드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되실거에요.
이 글에서는 네 가지 기준으로 비교해서 고민을 해결해 드리려고 합니다.
가입 조건, 사용 지역, 비용 효율성, 제공 서비스를 중심으로 분석해드리고 비교 계산기를 통해 선택을 도와드릴게요.
📊 기후동행카드 vs K패스 핵심 비교
- 가입 대상
- 기후동행카드: 누구나 가능, 나이·소득 제한 없음
- K패스: 만 19세 이상,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 53.3% 환급
- 사용 지역
-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중심, 일부 수도권 포함, 신분당선·광역버스 제외
- K패스: 전국 단위, 모든 버스·지하철, 환급 방식 적용
- 월 비용
- 기후동행카드: 기본형 62,000원, 따릉이형 65,000원, 한강버스형 65,000원, 통합형 68,000원
- K패스: 환급제 방식, 교통비에 따라 환급금이 변동
- 부가 서비스
- 기후동행카드: 지하철·버스 무제한, 따릉이 2시간 무료, 한강버스 무제한
- K패스: 대중교통 환급만, 자전거·한강버스 제외
글 후반부에 이득 비교 계산기 꼭 해보시고, 확인 후 선택하세요.
1. 가입 조건: 누구나 vs 나이 제한
기후동행카드
- 서울 거주 시민 누구나 구매 가능
- 나이나 소득에 상관없음
- 다만 청년(만19~39세)은 할인혜택
K패스
- 만 19세 이상만 가입 가능
- 참여 지자체 주민이어야 신청가능
- 환급률은 개인 상황에 따라 달라짐
결론: 가입은 기후동행카드가 간단해요. K패스는 사용지역 주민 및 청년과 저소득층에게 더 유리합니다.
2. 사용 지역: 서울 전용 vs 전국 커버
기후동행카드
- 서울시 전용 제도예요
- 서울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이용 가능
- 일부 수도권 연계 노선도 포함돼요
- 제외 대상: 신분당선, 광역버스, 공항버스
K패스
- 전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해요
- 등록된 교통카드로 결제하면 환급받아요
- 대부분의 버스·지하철에서 적용돼요
결론: 서울 생활자는 기후동행카드, 전국 이동자는 K패스가 좋아요.
3. 제공 서비스: 확장성의 차이
기후동행카드
- 지하철·버스 무제한 기본 제공
- 따릉이: 1일 1회, 2시간 무료 (+3,000원)
- 한강버스: 무제한 이용 (+3,000원)
- 통합형: 모든 서비스 이용 (+6,000원)
K패스
- 대중교통 요금 환급만 제공
- 자전거나 한강버스는 포함되지 않아요
결론: 서비스 다양성은 기후동행카드가 훨씬 앞서요.
4. 비용 효율성: 계산기 비교하세요
기후동행카드 요금
- 기본형: 62,000원 (지하철·버스만)
- 따릉이 포함: 65,000원 (+3,000원)
- 한강버스 포함: 65,000원 (+3,000원)
- 통합형: 68,000원 (+6,000원)
K패스 환급률
- 일반 성인 (20% 환급)
- 청년층(만19세~34세) (30% 환급)
- 저소득층 (53.3% 환급)
- 다자녀 2인 (30% 환급)
- 다자녀 3인이상 (50% 환급)
기후동행카드 vs K-패스 계산기 (서울)
※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권역 내 무제한 이용 정기권이며, 청년 할인은 만 19~39세 대상입니다.
각 카드별 신청 방법이 아래를 참고하세요
💡 자주 묻는 질문
Q1. 두 카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나요?- A: 둘 다 발급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같은 이용에 대해 중복 할인은 안 됩니다. 상황에 따라 하나씩 선택해서 써야 해요.
Q2. 따릉이를 자주 타는데 K패스로도 무료인가요?
- A: 아니요. 따릉이와 한강버스는 기후동행카드만 해당돼요. K패스는 순수 대중교통 환급만 가능합니다.
🎯 결론
서울 거주자라면 교통비 패턴을 먼저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비교계산기를 통해 이득을 따져보고 판단하면 됩니다.
서울 외 지역 거주자라면 K패스가 답이에요.
전국 어디서나 환급받을 수 있어요.
따릉이나 한강버스를 자주 이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의 확장형을 고려해보세요.
여러분의 교통비 패턴과 생활권을 확인해서 똑똑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
0 댓글
자유롭게 질문해주세요. 단, 광고성 댓글 및 비방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