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직 후 가장 큰 고민은 생계입니다. 다행히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실업급여 제도를 통해 일정 기간 생활비를 지원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근로형태에 따라 계산 방식과 수급기간이 달라 헷갈리기 쉽습니다. 상용직, 일용직, 예술인, 자영업자, 노무제공자별로 모두 다르거든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을 토대로 실업급여 수급기간과 금액 계산법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실업급여란?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이해하기
실업급여는 실직자의 재취업 활동을 돕기 위해 일정 기간 임금의 일부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고용노동부 안내에 따르면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가 기본 산정 기준이에요. 하루 상한액은 66,000원, 하한액은 상용직·일용직 기준 64,192원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근로자의 형태에 따라 계산 방식과 지급일수가 다르므로, 유형별 차이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관련내용 바로가기
1) 실업급여 직종별 자격조건 |
2) 실업급여 수급기간 및 금액 계산하기 |
3) 실업급여 신청절차 총정리 |
4) 실업급여 주의사항 |
5) 실업급여 이의신청 |
6) 실업급여 자주하는 질문 모음 |
실업급여 수급금액 및 지급일수
직종별 수급금액 계산 방법과 지급일수를 안내해드립니다.
계산기 프로그램은 글 하단을 참고해주세요.
상용직 근로자 실업급여 계산방법
기본 계산 공식과 원리
실업급여는 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의 60%입니다. 모든 급여를 합산한 후 총 일수로 나눕니다. 기본급, 각종 수당, 상여금이 모두 포함됩니다.
단계별 계산 과정
-
3개월 총급여 확인
퇴사 전 3개월간 받은 모든 급여를 합산합니다. 세전 금액으로 계산하며 실지급액이 아닙니다.
-
총 일수 계산
3개월의 모든 날짜를 계산합니다. 주말, 공휴일도 포함하여 보통 90-92일입니다.
-
1일 평균임금 산출
총급여를 총 일수로 나누면 1일 평균임금입니다. 예: 750만원 ÷ 92일 = 81,521원
-
실업급여액 계산
1일 평균임금에 60%를 곱합니다. 예: 81,521원 × 0.6 = 48,913원
-
상한액·하한액 적용
계산 결과를 2025년 기준으로 조정합니다. 하한액 64,192원, 상한액 66,000원 적용.
실제 계산 예시
- 월 250만원 받던 직장인
- 3개월 총급여: 250만원 × 3 = 750만원
- 총 일수: 92일 (3개월 기준)
- 1일 평균임금: 750만원 ÷ 92일 = 81,521원
- 실업급여: 81,521원 × 60% = 48,913원
- 최종 지급액: 64,192원 (하한액 적용)
- 월 500만원 받던 직장인
- 3개월 총급여: 1,500만원
- 1일 평균임금: 163,043원
- 실업급여 계산: 97,826원
- 최종 지급액: 66,000원 (상한액 적용)
상용직 지급일수
- 50세 미만
- 가입 1년~3년: 120일 지급
- 가입 3년~5년: 150일 지급
- 가입 5년~10년: 180일 지급
- 가입 10년 이상: 210일 지급
- 50세 이상
- 가입 1년~3년: 180일 지급
- 가입 3년~5년: 210일 지급
- 가입 5년~10년: 240일 지급
- 가입 10년 이상: 270일 지급
일용직 근로자 실업급여 계산방법
일용직만의 특별한 계산 기준
일용직은 4개월 중 마지막 1개월을 제외합니다. 소득 불안정성을 고려한 특별 규정입니다. 퇴사 직전 급여 감소를 보정하는 장치입니다.
계산 과정 상세 설명
-
기간 설정
퇴사일 기준 4개월 전부터 계산합니다. 마지막 1개월은 완전히 제외합니다. 나머지 3개월만 사용하여 평균을 냅니다.
-
실제 계산 방법
제외된 마지막 달을 빼고 계산합니다. 3개월 총급여를 3개월 총 일수로 나눕니다. 60%를 곱한 후 상한액·하한액을 적용합니다.
일용직 계산 예시
- 4개월간 급여 변동 사례
- 4개월 전: 250만원
- 3개월 전: 250만원
- 2개월 전: 250만원
- 1개월 전: 50만원 (제외!)
- 최종 계산
- 계산 대상: 750만원 (250만원 × 3개월)
- 1일 평균임금: 81,521원
- 실업급여: 48,913원
- 지급액: 64,192원 (하한액 적용)
일용직 지급일수
- 50세 미만
- 가입 1년~3년: 120일 지급
- 가입 3년~5년: 150일 지급
- 가입 5년~10년: 180일 지급
- 가입 10년 이상: 210일 지급
- 50세 이상
- 가입 1년~3년: 180일 지급
- 가입 3년~5년: 210일 지급
- 가입 5년~10년: 240일 지급
- 가입 10년 이상: 270일 지급
예술인 실업급여 계산방법
예술인 전용 계산 기준
예술인은 1년간 보수총액으로 계산합니다. 불규칙한 소득 특성을 반영한 제도입니다. 가입일수를 기준으로 일평균을 산출합니다.
예술인 상한액·하한액
일반 근로자와 다른 기준을 적용합니다. 하한액은 16,000원으로 매우 낮습니다. 상한액은 66,000원으로 동일합니다.
계산 과정과 예시
-
기본 공식
(1년간 보수총액 × 60%) ÷ 가입일수
- 구체적 계산 사례
- 연간 보수: 2,100만원
- 가입일수: 182일
- 1일 평균: 115,384원
- 실업급여: 69,230원
- 지급액: 66,000원 (상한액 적용)
예술인 지급일수
- 가입 1년~3년: 120일 지급
- 가입 3년~5년: 150일 지급
- 가입 5년~10년: 180일 지급
- 가입 10년 이상: 210일 지급
노무제공자(플랫폼 노동자) 실업급여 계산방법
노무제공자 계산 특징
배달라이더, 대리운전 등이 해당됩니다. 예술인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하한액이 26,600원으로 더 높습니다.
계산방법과 예시
예술인과 동일한 공식을 사용합니다. 1년간 보수총액의 60%를 가입일수로 나눕니다. 상한액 66,000원, 하한액 26,600원 적용.
노무제공자 지급일수
- 가입 1년~3년: 120일 지급
- 가입 3년~5년: 150일 지급
- 가입 5년~10년: 180일 지급
- 가입 10년 이상: 210일 지급
자영업자 실업급여 계산방법
자영업자만의 특별한 시스템
자영업자는 1등급부터 7등급을 본인이 선택합니다. 높은 등급은 보험료도 많지만 실업급여도 많이 받습니다.
등급 선택 기준
-
높은 등급 선택하는 경우
사업이 불안정할 때
월 보험료: 약 7만원 (7등급) -
낮은 등급 선택하는 경우
사업이 안정적일 때
월 보험료: 약 4만원 (1등급) -
중간 등급 선택하는 경우
적당한 보험료와 보장을 원할 때
월 보험료: 약 5-6만원
등급별 실업급여 예시
-
높은 등급(7등급)
- 1일 실업급여: 66,000원
- 210일 총액: 1,386만원
-
중간 등급(4등급)
- 1일 실업급여: 52,000원
- 210일 총액: 1,092만원
- 낮은 등급(1등급)
- 1일 실업급여: 40,000원
- 210일 총액: 840만원
자영업자 지급일수
- 가입 1년~3년: 120일 지급
- 가입 3년~5년: 150일 지급
- 가입 5년~10년: 180일 지급
- 가입 10년 이상: 210일 지급
🖥️ 실업급여 모의 계산기
정확한 금액은 반드시 고용센터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 수급기간 연장 및 특별 규정
수급기간 연장 사유
임신·출산으로 구직활동이 어려운 경우 연장됩니다. 질병·부상으로 취업이 불가능할 때도 해당됩니다. 최대 4년까지 연장 가능합니다.
신청 시 중요한 유의사항
-
신청 기한 엄수 필수
마지막 근무일 다음 날부터 1년 이내 신청. 1년 초과 시 남은 지급일수 관계없이 불가. 기한 경과 후에는 어떤 예외도 없습니다.
-
재취업 시 의무사항
수급 중 재취업하면 반드시 즉시 신고. 미신고 시 부정수급으로 환수 조치. 조기재취업수당 등 추가 혜택 놓칠 수 있음.
자주 묻는 질문(FAQ)
Q1. 실업급여는 무조건 받을 수 있나요?
아닙니다. 반드시 비자발적 퇴직(권고사직, 계약만료 등)이어야 해요. 자발적 퇴사라도 정당한 사유가 인정되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Q2. 실업급여를 받으면서 아르바이트를 해도 되나요?
일정 시간 미만의 단기 근로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반드시 고용센터에 신고해야 해요. 미신고 시 부정수급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Q3. 실업급여 신청은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마지막 근무일 다음 날부터 1년 이내에만 신청할 수 있어요. 1년이 지나면 남은 지급일수가 있어도 받을 수 없습니다.
핵심 정리
실업급여는 근로 형태에 따라 계산 방식과 지급기간이 다릅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평균임금(보수)의 60%가 기준이에요.
2025년 기준 금액
- 상한액: 66,000원
- 하한액: 상용직·일용직 64,192원
지급일수
- 최소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 (단, 자영업자는 최대 210일까지 수급 가능)
0 댓글
자유롭게 질문해주세요. 단, 광고성 댓글 및 비방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